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애드센스 ads.txt 직접 등록하는 법 (Cloudways 워드프레스 사이트 기준)

by 이슈12 2025. 7. 13.
반응형

– 유료 플러그인 없이 수익 누락 방지하는 확실한 방법

목차

  1. ads.txt란 무엇인가요?
  2. 왜 등록해야 하나요?
  3. 내가 사용 중인 환경: Cloudways + WordPress
  4. ads.txt 파일 직접 등록 방법 (무료)
  5. 적용 확인 및 애드센스 반영 팁
  6. 마무리 후기: 유료 플러그인 없이 해결 완료!

1. ads.txt란 무엇인가요?

ads.txt는 "Authorized Digital Sellers"의 약자로,
내 사이트에서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공식 판매자 정보를 명시하는 텍스트 파일입니다.

📌 주로 Google AdSense나 애드매니저 등의 수익 플랫폼이 요구하며,
정상적으로 등록되지 않으면 수익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
2. 왜 등록해야 하나요?

애드센스에서는 ads.txt 파일이 누락되었거나 설정이 잘못되었습니다라는 경고 메시지를 통해
광고 게재 제한이나 수익 미집계가 발생할 수 있다고 안내합니다.

따라서 반드시 내 사이트의 도메인 루트에 직접 등록해야 하며,
워드프레스 유저라면 방법을 잘 모르면 다소 헷갈릴 수 있습니다.


3. 내가 사용 중인 환경: Cloudways + WordPress

제가 운영 중인 사이트는:

  • 도메인 등록: 가비아
  • 서버 호스팅: Cloudways
  • CMS: 워드프레스 (WordPress.org 설치형)

Cloudways는 고성능 서버 호스팅 플랫폼으로, 자유도가 높고 속도도 빠르지만
FTP나 SFTP를 통한 직접 접속 방식이 기본입니다.


4. ads.txt 파일 직접 등록 방법 (100% 무료)

✅ 1단계: ads.txt 파일 생성

  1. 메모장을 엽니다.
  2. 아래 내용을 입력합니다:
rust
복사편집
google.com, pub-6327811853739558, DIRECT, f08c47fec0942fa0
  1. 파일명을 ads.txt로 저장합니다.

✅ 2단계: Cloudways 서버에 SFTP 접속

  1. Cloudways에 로그인
  2. [Servers → 서버 선택 → Master Credentials]로 이동
  3. 아래 정보를 확인
항목설명
호스트(IP) 서버의 공인 IP
사용자명 master 사용자 계정
비밀번호 비공개 (Copy 버튼으로 복사)
포트 22 (기본 SFTP 포트)
 

✅ 3단계: FileZilla로 접속 및 파일 업로드

  1. FileZilla 설치 후 실행
  2. 위에서 복사한 정보를 입력해 SFTP 접속
  3. 경로 이동:
bash
복사편집
/applications/앱이름/public_html/
  1. ads.txt 파일을 해당 폴더에 업로드

✅ 4단계: 적용 확인

웹브라우저에 아래 주소 입력:

arduino
복사편집
https://myinfohub.co.kr/ads.txt

👉 등록한 텍스트가 그대로 보이면 성공입니다.


5. 애드센스 반영 팁

  • 보통 24~48시간 이내에 애드센스에서 자동 인식됩니다.
  • 반영되면 사이트 경고 메시지가 사라지고, 수익 측정이 정상화됩니다.
  • 반영 확인은 애드센스 > [사이트] 메뉴에서 가능합니다.

6. 마무리 후기: 유료 플러그인 없이도 문제 해결!

처음에는 ads.txt 등록하려고 하니까 유료 플러그인을 쓰라는 글이 많아 망설였는데,
결국 Cloudways는 FTP/SFTP 접속이 가능하다는 걸 확인하고 파일 하나만 직접 업로드해서 해결했어요.

📌 핵심은 다음 2가지입니다:

  • ads.txt는 반드시 루트 경로(도메인/ads.txt)에 있어야 한다
  • 헤더, 푸터에 삽입하거나 HTML에 넣어서는 효과가 없다

앞으로도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할 때 서버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직접 다루는 법을 익히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.


✅ 한줄 요약

Cloudways 사용자라면 유료 플러그인 없이도 ads.txt를 직접 업로드하여 수익 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.

반응형